분류 전체보기 11

한국의 주소체계: 도로명 주소와 지번주소

한국의 주소 체계: 지번주소와 도로명주소에 대한 이해한국에서는 두 가지 주소 체계를 사용합니다: 지번주소와 도로명주소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두 가지 주소 체계의 구조와 특징, 그리고 그 차이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지번주소란?지번주소는 토지의 고유번호인 지번을 기반으로 한 전통적인 주소 체계입니다. 이 주소 체계는 다음과 같은 행정 구역으로 구성됩니다:광역지방자치단체: 시(-시, -특별시), 도(-도)기초지방자치단체: 시(-시), 군(-군), 구(-구)읍면동: 읍(-읍), 면(-면), 동(-동)법정동과 행정동으로 나뉨리: 주로 읍과 면 아래에 위치법정동과 행정동의 이해법정동은 법률이나 관습법에 의해 지정된 전통적인 지역 명칭으로, 부동산 등기와 토지대장 등에서 사용됩니다. 반면, 행정동은 ..

주소 2024.11.07

첫 개인 프로젝트 하는 입장에서 Framework 선택

현 시점 Spring은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웹 프레임워크중 하나입니다.그런데 저는 이 글을 첫 개인 프로젝트로 프레임워크를 선택하는 입장에서 스프링의 장단점과 다른 웹 프레임워크의 장단점을 서술하여 스프링이 아닌 다른 웹 프레임워크를 통해서 입문하기를 추천하고자 합니다.절대 개인적으로 주장하는 의견이고 모든 의견을 존중합니다.Java Spring장점가장 축적된 자료가 많은 언어 및 웹 프레임워크입니다.Web BE 직무 채용시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웹 프레임워크입니다.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에 적합한 웹 프레임워크로 프로젝트 설계 시 다양한 소프트웨어공학 이론에 맞게 설계가 가능합니다.단점여러 파일 및 폴더구조로 인해서 초심자가 익숙해지기에 어느정도 시간이 필요합니다.필연적으로 프로젝트 ..

경험 2024.10.25

Docker 관련 개념 정리

도커가 뭘까DockerDocker는 애플리케이션 구축, 구현 및 테스트를 위해 격리된 가상화 환경을 생성하는 서비스형 플랫폼이다.Docker는 컨테이너 엔진으로 리눅스 커널 기능을 사용하여 운영 체제 위에 컨테이너를 만들고,Docker 자체는 서비스의 컨테이너를 관리하는 데몬으로 실행된다.Linux 커널의 도커 엔진namespace: 프로세스를 독립시켜주는 가상화 기술이다. 각 컨테이너에서 실행된 프로세스가 시스템(user, 파일, 네트워크, 호스트명, 프로세스)등에 대해 독립할 수 있게 해준다.cgroups: 자원(CPU, 메모리, network bandwidth)에 대한 제어를 가능하게 해주는 리눅스 커널의 기능이다.Docker는 컨테이너라는 가상의 '격리 환경'을 만들기 위해 리눅스의 namespa..

기술 2024.10.25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 5

정보시스템 구축관리개별 환경 구축개발 환경 구축개발 프로젝트를 이해하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장비를 구축응용 소프트웨어가 운영될 환경과 유사한 구조로 구축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선정함성능, 편의성, 라이선스 등의 비즈니스 환경에 적합한 제품들을 최종적으로 결정하여 구축함하드웨어 환경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클라이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구성!https://prod-files-secure.s3.us-west-2.amazonaws.com/34c9c849-1f6c-44a2-a69b-66c38be75f42/fdcae290-8799-49e3-8f8e-d909a5ecd7c2/스크린샷_2024-10-12_오후_10.31.17.png클라이언트의 종류개인용 컴퓨터(PC), 스마트폰 등서버..

경험 2024.10.25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 4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자료 구조자료구조자료를 기억장치의 공간 내에 저장하는 방법과 관계, 처리 방법등을 연구 분석하는 것저장 공간의 효율성과 실행기간의 단축을 위해 사용함자료 구조의 분류배열크기와 타입이 동일한 자료들이 순서대로 나열된 자료의 집합정적인 자료구조로, 기억장소의 추가가 어려움데이터 삭제 시, 메모리 낭비가 발생함연속 리스트연속되는 기억장소에 저장되는 자료 구조데이터 삽입을 위해서 연속된 빈 공간이 있어야함삽입, 삭제 시 자료의 이동이 필요함연결 리스트임의의 기억공간에 기억시키되 노드의 포인터 부분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시킨 자료 구조기억 공간의 효율이 좋지 않음접근 속도가 느리고, 연결이 끊어지면 다음 노드를 찾기 어려움스택리스트의 한 쪽 끝으로만 자료의 삽입, 삭제 작업이 이루어지는 자료 구..

경험 2024.10.25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 3

데이터베이스 개요데이터 저장소논리적인 구조로 조직화하거나, 물리적인 공간에 구축논리 데이터저장소데이터 및 데이터 간의 연관성 제약조건을 식별물리 데이터저장소소프트웨어가 운용될 환경의 실제 저장장치에 저장한 것데이터베이스공동적으로 사용될 데이터를 중복을 배제하여 통합저장장치에 저장하여 항상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운영 데이터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음통합된 데이터중복을 배제한 데이터의 모임저장된 데이터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자료운영 데이터고유한 업무를 수행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자료공용 데이터공동으로 소유하고 유지하는 자료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정보를 생성해주고,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주는 소프트웨어데이터..

경험 2024.10.25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 2

소프트웨어 개발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소프트웨어 개발, 유지보수 등에 필요한 수행방법과 각종 기법 및 도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표준화한 것목적은 소프트웨어의 생산성과 품질 향상주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구조적 방법론정보공학 방법론객체지향 방법론컴포넌트 기반(CBD) 방법론제품 계열 방법론애자일 방법론구조적 방법론 ⇒ 모듈화, 부품화사용자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문서화하는 처리(Precess) 중심의 방법론쉬운 이해 및 검증이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생성하는 것이 목적임분할과 정복(Divide and Conquer)원리를 적용함구조적 방법론의 개발 절차정보공학 방법론 ⇒ 실제 업무 위주로계획, 분석, 설계, 구축에 정형화된 기법들을 통합 및 적용하는 자료(Data) 중심의 방법론대규모 정..

경험 2024.10.25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 1

소프트웨어 설계소프트웨어 생명 주기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과정을 각 단계 별로 나눈 것폭포수 모형이전 단계로 돌아갈 수 없다는 전제각 단계를 확실히 매듭짓고 그 결과를 철저하게 검토하여 승인 과정을 거친 후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개발 방법론프로토타입 모형폭포수의 한번 진행하면 돌아갈 수 없는 단점 보완ex) 아파트 모델하우스실제 개발될 소프트웨어에 대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서 최종 결과물을 예측나선형 모형여러 번의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을 거쳐 점진적으로 개발하는 모형보헴이 제안폭포수, 프로토타입 모형의 장점에 위험 분석 기능 추가요구사항 첨가 가능유지보수 과정 필요 없음4가지 주요 활동 (순환반복)계획 수립위험 분석개발 및 검증고객 평가애자일 모형고객의 요구사항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일정한..

경험 2024.10.25

개발자 컨퍼런스 뉴비의 시선(Feat. DebConf24)

이 글은 DebConf를 처음 참가하는 사람 입장에서 기술된 글이라 틀린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DebConf 행사는 2주간 진행되며 DebCamp와 DebConf로 각각 1주간 나누어서 진행됩니다.DebCampDebCamp에서는 표면적으로 Debian을 사용하는 참가자들이 서로 소통하고 개발할 수 있는 일 주간의 부트캠프를 조성하는 기간입니다만, 그 속에서는 committee 와 Local Team을 중심으로 다가오는 DebConf에 대응하기 위한 열심히 준비를 합니다.일차적으로 참가자들의 생활을 위한 기숙사 혹은 숙소 체크인, 침구류 및 Swag Bag, 각종 생활용품 준비, 지옥의 meal Ticket 준비 등 여러 물품을 준비하고 컨퍼런스 기간동안 사용할 AP 무선 인터넷 설치, 라이브 스..

경험 2024.10.02

동료학습에 대한 고찰

GDSC (이젠 GDG on Campus가 되긴했지만..)에서 동료학습에 대해서 발표를 했었습니다. 발표에 대한 큰 흐름은 다음과 같았습니다.42Network에서 어떻게 동료학습을 하는지동료학습이 어떤 장점이 있는지다른 공간 및 상황에서 어떻게 동료학습을 해야하는지구체적으로, 일반적인 학습 방법(강의 학습)을 통해서 공부한 경험에 대해서 상기시킬 수 있는 내용을 언급했습니다. 예를 들어, 학교 강의를 듣고 다음 학기에 그것에 심화된 내용 및 실험과목에 대해서 수강하려고 할 때, 가르치는 교수 및 강사가 “직전 학기에 배웠으니 다 알지?”를 말했는데 그 말을 듣고 “나 잘 모르겠는데?”와 같이 분명 강의를 수강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기억이 나지 않는 에피소드를 통해 언급했습니다.그 이후 동료학습에 대해서..

경험 2024.10.02